Linkin Park의 데뷔 앨범 Hybrid Theory에서 두 번째 싱글로 발표된 “Crawling”은 2000년에 발매되어 밴드의 초창기 정체성을 대중에게 강렬히 각인시킨 곡이다. 이 곡은 2002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베스트 하드 록 퍼포먼스 부문을 수상하며 음악적 완성도 또한 인정받았다. 이후에도 꾸준한 인기를 유지하며 록 팬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대표곡 중 하나다.
배경과 의미
“Crawling”은 Hybrid Theory 수록곡 중에서도 Mike Shinoda의 랩이 눈에 띄게 배제된 몇 안 되는 곡 중 하나다. 그 대신 Chester Bennington의 감정이 격렬하게 담긴 보컬이 중심이 되어, 곡의 무게감을 더한다. Chester는 이 곡이 자신의 약물과 알코올 중독 경험에서 비롯되었다고 밝힌 바 있으며, “이 상처들은 결코 아물지 않아”라는 가사로 상징되는 통제력 상실에 대한 절망감을 표현하고 있다.
Bennington은 인터뷰에서 “Crawling은 라이브에서 부르기 가장 힘든 곡”이라고 말했을 정도로, 감정 소모가 큰 노래다. 곡은 C♯ 마이너 키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둡고 무거운 사운드가 내면의 고통을 더욱 강조한다.
라이브 퍼포먼스와 리믹스
“Crawling”은 다양한 라이브 버전에서 변화를 주며 공연됐다. 특히 2008년부터는 리믹스 버전인 “Krwlng”의 인트로 위에 “Hands Held High”의 가사를 Mike Shinoda가 랩으로 얹는 형식이 자주 사용되었다. 2009년에는 곡의 첫 부분이 아카펠라나 베이스라인으로 시작된 뒤 리믹스 인트로가 이어지면서 더욱 드라마틱한 전개를 보여줬다.
한편, 이 곡의 라이브 버전은 싱글 “Breaking the Habit”의 B-사이드로 수록되기도 했다.
뮤직비디오
“Crawling”의 뮤직비디오는 Brothers Strause가 감독을 맡았으며, 학대적인 관계에 고통받는 한 여성의 내면을 시각적으로 풀어냈다. 영상 속 주인공은 세상과의 단절 속에서 고립감을 느끼고, 이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수정 결정체가 그녀의 몸을 감싸는 장면들이 등장한다. 곡이 끝나갈 무렵, 결정체가 서서히 사라지면서 그녀가 자신을 되찾는 과정이 암시된다.
처음 시놉시스는 밴드가 사이코팬에게 살해당하는 어두운 결말이었으나, Warner Bros.가 이를 거부하면서 현재의 결말로 대체되었다. 이 뮤직비디오는 밴드 멤버 Dave “Phoenix” Farrell이 복귀한 후 처음 제작된 영상이기도 하다.
MTV Video Music Awards에서 최우수 록 비디오 부문 후보에 올랐으나, Limp Bizkit의 “Rollin”에 밀려 수상에는 실패했다.
추가 콘텐츠와 DVD
CD 싱글에는 “Papercut”의 BBC 라이브 버전과 백스테이지 비디오가 포함되어 있다. DVD 싱글에는 Dragon Festival에서의 라이브 퍼포먼스를 수록한 영상이 포함되었으며, 리모컨을 통해 다양한 앵글로 시청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었다. 이외에도 “One Step Closer”, “By Myself”, “With You”, “A Place for My Head”의 30초 라이브 클립이 포함되어 있다.
이 영상들은 “Frat Party at the Pankake Festival” DVD의 보너스 콘텐츠로도 만나볼 수 있으며, Warner Bros. Records의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도 시청할 수 있다.
헌정 공연과 커버 버전
2017년 Chester Bennington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Crawling”은 여러 아티스트들에 의해 헌정곡으로 연주되었다. Coldplay의 Chris Martin은 피아노 솔로 버전으로 공연했고, Staind의 Aaron Lewis와 30 Seconds to Mars의 Jared Leto 역시 공연 중 이 곡을 커버하며 Chester를 추모했다.
대중 문화 속 등장
2010년 밴쿠버 동계올림픽에서는 영국의 피겨스케이팅 팀 John & Sinead Kerr가 “Krwlng”을 배경 음악으로 아이스댄스를 선보여 화제를 모았다. 또한 2011년에는 Rock Band 3의 Linkin Park DLC 팩에 수록되며 게임 팬들에게도 익숙한 곡이 되었다.
상업적 성과
Crawling은 캐나다와 오스트리아에서 톱 10에 진입했고, 영국에서는 16위로 데뷔해 8주간 차트에 머물렀다. 미국에서는 Billboard Hot 100에서 79위로 데뷔하여 비교적 낮은 순위를 기록했지만, 모던 록 트랙 차트에서는 5위, 메인스트림 록 차트에서는 3위를 기록하며 꾸준한 인기를 유지했다. 특히 20주 동안 차트에 머물며 롱런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결론
“Crawling”은 Linkin Park가 단순한 록 밴드 이상의 존재로 거듭나는 데 큰 기여를 한 곡이다. 자기 파괴와 회복의 고리를 반복하는 인간의 내면을 음악으로 승화시키며, 수많은 팬들에게 깊은 울림을 전했다. 이 곡은 단순히 데뷔 앨범의 한 트랙이 아닌, Chester Bennington이라는 아티스트의 진심과 고통, 그리고 Linkin Park라는 밴드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작품이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