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5년 발매된 a-ha의 Take On Me는 단순히 한 곡의 히트송을 넘어, 1980년대 신스팝 음악과 뮤직 비디오의 혁신을 이끈 전설적인 작품이다. 이 곡은 아날로그 신스 사운드와 디지털 기술을 결합한 독창적인 음악적 접근뿐만 아니라, 음악 비디오에서의 전례 없는 비주얼 실험으로도 음악 산업의 판도를 바꾸었다. Take On Me는 a-ha의 독특한 음악적 언어와 실험적인 사운드 디자인, 그리고 MTV 시대의 시각적 혁신이 결합된 사례로, 음악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창작 배경: 밴드의 고뇌와 음악적 전환”
Take On Me의 창작은 a-ha의 초기 밴드 활동에서 비롯되었다. 원래 밴드 ‘브리지스(Bridges)’에서 시작된 이 곡은 15세와 16세의 Pål Waaktaar (폴 왁타르)와 Magne Furuholmen (마그네 푸루홀멘)의 협업으로 탄생했다. 그들은 초창기 곡인 Miss Eerie를 작성했으나, 지나치게 팝적이고 상업적인 성격에 불만을 느꼈다. 곡은 초기에 ‘펑크’적 요소를 통해 다소 반항적인 방향을 시도했지만, 결국 보다 세련되고, 감성적인 접근으로 방향을 바꾸게 된다.
1982년, 밴드는 런던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기 위해 다시 모였고, 당시 그들은 “Lesson One”이라는 제목으로 곡을 리메이크하기 시작했다. 이 곡은 Morten Harket (모르텐 하르케트)가 밴드에 합류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그의 광범위한 보컬 범위는 곡의 중심 요소로 자리 잡았다. 특히, Harket의 보컬은 곡의 감정을 고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가 보여준 2.5옥타브 이상의 고음 처리는 Take On Me의 독특한 매력을 형성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했다.
“음악적 특징: 신스팝과 아날로그 사운드의 결합”
Take On Me는 1980년대 신스팝의 전형적인 특성을 지니면서도, 그 안에서의 실험적인 접근이 돋보인다. 이 곡은 당대 신스팝의 대표적인 사운드인 아날로그 신스와 디지털 드럼 머신, 그리고 기타와 키보드의 결합을 통해 세련된 전자적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특히, Furuholmen이 연주하는 Roland Juno-60을 이용한 메인 멜로디는 곡의 핵심적인 테마를 이룬다. 또한, LinnDrum 드럼 머신은 초기의 신스팝 음악에서 보여주던 기계적인 느낌을 강조하며, 그 외에도 아쿠스틱 기타와 하이햇의 오버더빙이 사운드에 깊이를 더한다.
곡의 구조는 전형적인 Verse–Chorus 형식을 따르며, 그 안에 강렬한 감정의 기복을 담아낸다. Harket의 보컬은 A2에서 시작해 최고음인 A4에 이르기까지 넓은 음역을 커버하며, 곡이 진행될수록 점차적으로 상승하는 감정을 잘 표현하고 있다. Take On Me의 후렴은 특히 부르기 어려운 파트로 평가되며, 이는 Harket의 기술적인 보컬 역량과 곡의 감정적 긴장감을 동시에 드러낸다.
“뮤직 비디오: 로토스코핑과 혁신적인 비주얼”
Take On Me의 성공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바로 그 혁신적인 뮤직 비디오였다. 1985년 공개된 이 뮤직 비디오는 감독 Steve Barron (스티브 배런)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로토스코핑(rotoscoping) 기법을 사용하여 실사와 애니메이션을 결합했다. 이 기법은 실사 영상의 각 프레임을 세밀하게 손으로 그려내어 애니메이션으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당시로서는 전례 없는 혁신적인 접근이었다. Barron은 이 기법을 통해 곡의 감정선과 상상력 넘치는 이야기를 시각적으로 풀어내었으며, 이를 통해 Take On Me는 단순한 뮤직 비디오 이상의 예술적 성과를 거두었다.
뮤직 비디오는 만화 속에서 나온 주인공이 현실 세계로 나오려는 과정을 그리며, 현실과 만화의 경계를 넘나드는 복잡한 감정선과 상징성을 담아냈다. 주인공 Harket의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사랑을 위해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넘는 인물로 그려지며, 이 비디오는 이후 많은 뮤직 비디오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 영상은 MTV의 상징적인 콘텐츠로 자리 잡으면서, 뮤직 비디오의 예술적 가능성을 확장시켰다.
“상업적 성공과 문화적 영향”
Take On Me는 1985년, 미국 빌보드 Hot 100에서 1위를 차지하며 a-ha의 글로벌 스타덤을 확립했다. 특히, MTV에서의 방영은 곡의 인기를 더욱 증대시켰고, 뮤직 비디오는 1986년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서 여섯 개의 상을 수상하며 그 해의 중요한 뮤직 비디오로 자리잡았다. 이 곡은 신스팝의 대표작이자 1980년대의 음악적 유산으로 평가되며, 이후에도 수많은 영화, 광고, TV 프로그램에서 인용되었다.
2020년, Take On Me의 뮤직 비디오는 YouTube에서 10억 뷰를 넘겼으며, 2023년까지 20억 뷰를 달성하면서 그 문화적 영향력을 재확인했다. 또한, Rolling Stone은 이 곡의 뮤직 비디오를 “역대 최고의 뮤직 비디오 100선”에서 14위로 선정하며, Take On Me는 단순한 히트곡을 넘어서 시대를 대표하는 팝 문화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다.
“결론: 신스팝의 걸작이자 문화적 이정표”
Take On Me는 단지 1980년대의 음악적 트렌드를 대표하는 곡이 아니라, 그 자체로 시대를 초월한 음악적, 시각적 혁신의 상징이다. a-ha는 이 곡을 통해 신스팝을 더욱 세련되게 재구성하며, Morten Harket (모르텐 하르케트)의 독보적인 보컬과 Steve Barron (스티브 배런)의 혁신적인 뮤직 비디오가 결합된 독창적인 작품을 탄생시켰다. Take On Me는 여전히 현대 대중문화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음악적, 시각적 유산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줄 것이다.
Leave a Reply